THE POLYMER SOCIETY OF KOREA

등록안내

Organizer

일반발표분야

고분자 합성: 차세대 기능성
소재를 위한 고분자 설계와 정밀합성
고영운
  • 전남대학교
  • yeongunko@jnu.ac.kr
  • 062-530-1774
김명웅
  • 인하대학교
  • mkim233@inha.ac.kr
  • 032-860-7680
기능성 고분자:
스마트 계면제어 고분자 코팅 소재
이상호
  • 동국대학교
  • slee24@dgu.ac.kr
  • 02-2260-3707
서명은
  • 한국과학기술원
  • seomyungeun@kaist.ac.kr
  • 042-350-2814
고분자가공/복합재료/재활용:
섬유 강화 고분자
복합 소재
홍성우
  • 한국생산기술연구원
  • swhong@kitech.re.kr
  • 041-589-8675
김진철
  • 한국화학연구원
  • jckim81@krict.re.kr
  • 052-241-6065
고분자구조 및 물성:
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
소재 구조-물성 연구 최신 동향
박재홍
  • 이화여자대학교
  • jaehong@ewha.ac.kr
  • 02-3277-4706
여현욱
  • 경북대학교
  • yeo@knu.ac.kr
  • 053-950-5905
분자전자 부문위원회 Ⅰ,Ⅱ 이보람
  • 성균관대학교
  • brlee@skku.edu
  • 031-290-7416
정승준
  • 고려대학교
  • seungjun@korea.ac.kr
  • 02-3290-3216
김도환
  • 한양대학교
  • dhkim76@hanyang.ac.kr
  • 02-2220-2617
윤진환
  • 서울시립대학교
  • jyoon@uos.ac.kr
  • 02-6490-2374
의료용 고분자 부문위원회
Ⅰ:생체의료용 하이드로젤
및 나노소재의 최신 연구동향
박우람
  • 성균관대학교
  • parkwr@skku.edu
  • 031-299-4857
성혜정
  • 한국과학기술연구원
  • h.seong@kist.re.kr
  • 02-958-6955
최연식
  • 연세대학교
  • yschoi1@yonsei.ac.kr
  • 02-2123-2835
콜로이드 및 분자조립
부문위원회Ⅰ:
콜로이드 및 분자 조립
기반 기능성 구조 소재 설계
구강희
  • 울산과학기술원
  • kangheeku@unist.ac.kr
  • 052-217-2591
김대석
  • 부경대학교
  • daeseok@pknu.ac.kr
  • 051-629-6448
콜로이드 및 분자조립
부문위원회Ⅱ:
차세대 광전자 소자를
위한 카이랄 물질의 설계와 응용
류진
  • 한국과학기술연구원
  • jyoo@kist.re.kr
  • 02-958-5329
윤홍석
  • 한양대학교
  • yunhs@hanyang.ac.kr
  • 02-2220-0934
염지현
  • 한국과학기술원
  • jhyeom@kaist.ac.kr
  • 042-350-3341
에코소재 부문위원회:
Ⅰ: 폐플라스틱 환경규제 대응을
분류/재활용/새활용 기술동향
Ⅱ: 지속 가능한 분리막
및 다공성소재 기술동향
김정
  • 경희대학교
  • jeongkim@khu.ac.kr
  • 031-201-3668
이동윤
  • 경북대학교
  • dongyunlee@knu.ac.kr
  • 053-950-5627
에너지 부문위원회:
에너지 소재의 새로운 접근방식과 발전
심지민
  • 서울대학교
  • jiminshim@snu.ac.kr
  • 02-880-9115
이민재
  • 군산대학교
  • minjae@kunsan.ac.kr
  • 063-469-4575
최우혁
  • 인하대학교
  • uhyeok@inha.ac.kr
  • 032-860-7485
엄태식
  • 홍익대학교
  • earmme@hongik.ac.kr
  • 02-320-3061
신진연구자 특별 심포지엄 신진연구자는 각 세션 별로
3명씩 4월 18일(금)에 진행하오니
발표를 희망하시는 분은
세션 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신진연구자 일반구두발표 및
한국연구재단 사업소개 세션
4/16(수) 진행
자세히 보러가기
대학원생 구두발표
(영어발표, 발표 15분)
이준민
  • 포항공과대학교
  • junmin@postech.ac.kr
  • 054-279-2138
최청룡
  • 금오공과대학교
  • crchoi@kumoh.ac.kr
  • 054-489-7683
대학원생 구두발표
(발표 15분)
김호범
  • 광주과학기술원
  • hobkim@gist.ac.kr
  • 062-715-2741
박태현
  • 충남대학교
  • taehyun.park@cnu.ac.kr
  • 042-821-6618
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I):
포스트 분자전자 소재와 소자 기술
이보람
  • 성균관대학교
  • brlee@skku.edu
  • 031-290-7416
정승준
  • 고려대학교
  • seungjun@korea.ac.kr
  • 02-3290-3216
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Ⅱ):
차세대 의료용 고분자 혁신 동향
신광수
  • 인하대학교
  • kwangsoo.shin@inha.ac.kr
  • 032-860-7479
한주리
  • 서울대학교
  • joolih@snu.ac.kr
  • 02-740-8586
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Ⅲ):
콜로이드 및 분자 자기조립을 활용한
미세구조 제작과 응용
배세원
  • 제주대학교
  • swbae@jejunu.ac.kr
  • 064-754-3543
박성민
  • 한국화학연구원
  • parks@krict.re.kr
  • 042-861-7331
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Ⅳ):
"에코"의 과학적 접근: 지속가능성의
실질적 평가와 미래 전략
구준모
  • 충남대학교
  • junmokoo@cnu.ac.kr
  • 042-821-6668
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Ⅴ):
차세대 에너지 소재의 설계 및 응용
심지민
  • 서울대학교
  • jiminshim@snu.ac.kr
  • 02-880-9115
대학원생 구두발표(코스맥스)
(화장품/의료용/콜로이드 분야)
김경섭
  • 가톨릭대학교
  • kskim86@catholic.ac.kr
  • 02-2164-4041
송서우
  • 한국과학기술연구원
  • swsong@kist.re.kr
  • 02-958-5290
유재범
  • 충남대학교
  • jb.you@cnu.ac.kr
  • 042-821-5687
류진
  • 한국과학기술연구원
  • jyoo@kist.re.kr
  • 02-958-5329

특별발표분야

Korea-Taiwan Joint Symposium:
Advanced Materials
for a Sustainable Future(English)
노상철
  • 전남대학교
  • scroh@jnu.ac.kr
  • 062-530-1877
오준균
  • 단국대학교
  • junkyunoh@dankook.ac.kr
  • 031-8005-3576
RSC 에디터에게 듣는
고분자 연구의 비전(English)
김대우
  • 연세대학교
  • audw1105@yonsei.ac.kr
  • 02-2123-2745
왕동환
  • 중앙대학교
  • king0401@cau.ac.kr
  • 02-820-5074
고분자 이론: 미래 소재를 위한
고분자 이론 및
시뮬레이션 연구의 최신 동향순환
손창윤
  • 서울대학교
  • changyunson@snu.ac.kr
  • 02-880-6652
서범준
  • 서울과학기술대학교
  • bseo@seoultech.ac.kr
  • 02-970-6640
Pioneering Discoveries for
the Next Wave of
Electronic Technology
심교승
  • 울산과학기술원
  • kyos@unist.ac.kr
  • 052-217-2221
김봉수
  • 울산과학기술원
  • bongsoo@unist.ac.kr
  • 052-217-3197
구강희
  • UNIST
  • kangheeku@unist.ac.kr
  • 052-217-2591
김선주
  • 중앙대학교
  • fskim@cau.ac.kr
  • 02-820-5200
탄소융복합소재:
미래 모빌리티부터 우주항공까지
박태훈
  • 한국재료연구원
  • thpark@kims.re.kr
  • 055-280-3158
허몽영
  • 한국탄소산업진흥원
  • herpoly@kcarbon.or.kr
  • 063-219-3724/li>
구본철
  • 한국과학기술연구원
  • cnt@kist.re.kr
  • 063-219-8132
한화고분자학술상 수상기념세션:
페로브스카이트 기반 차세대
발광 소재 및 소자 기술
임재훈
  • 성균관대학교
  • j.lim@skku.edu
  • 031-299-6273
한태희
  • 한양대학교
  • taeheehan@hanyang.ac.kr
  • 02-2220-0411
의료용 고분자 부문위원회:
치료제와 백신을 위한
신흥 생체 고분자
김기수
  • 부산대학교
  • kisukim@pusan.ac.kr
  • 051-510-2496
황혜림
  • 이화여자대학교
  • hyerimhwang@ewha.ac.kr
  • 02-3277-4751
삼성미래기술 육성사업 세션:
차세대 고분자 기술
최영재
  • 광주과학기술원
  • yeongjae@gist.ac.kr
  • 062-715-2735
오승수
  • 포항공과대학교
  • seungsoo@postech.ac.kr
  • 054-279-2144
김호범
  • 광주과학기술원
  • hobkim@gist.ac.kr
  • 062-715-2741
기업체 세션:
Sustainable Polymer Materials
유승찬
  • ㈜삼양사 중앙연구소
  • seungchan.ryu@samyang.com
  • 042-865-8135
공호열
  • 경상국립대학교
  • hoyoulkong@gnu.ac.kr
  • 055-772-1487
김우석
  • 도레이첨단소재
  • Leonardo.kim.jx@mail.toray
  • 02-3279-7510
고분자 기반 불연성
차세대 수계전지 심포지엄
윤태광
  • 아주대학교
  • ytk0402@ajou.ac.kr
  • 031-219-3231
장윤희
  • 대구경북과학기술원
  • yhjang@dgist.ac.kr
  • 053-785-6412
이민재
  • 군산대학교
  • minjae@kunsan.ac.kr
  • 063-469-4575
  • 분야별 구두발표는 연구책임자와 박사급 회원이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(대학원생 구두발표 제외), 발표를 희망하시는 분은 2025년 2월 7일(금)까지 반드시 각 세션 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  • 신진연구자 특별 심포지엄: 신진연구자는 각 세션별로 3명씩 4월 18일(금)에 진행하오니 발표를 희망하시는 분은 세션 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(일반발표분야만 해당).
  • 세션 책임자의 동의 없이 구두발표를 신청한 경우, 포스터 발표로 변경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  • 대학원생 구두발표자는 우수논문발표상에 응모할 수 있습니다. 우수논문발표상 응모자는 초록제출 마감일(2025년 2월 21일(금))까지 소속 연구책임자의 추천서(연구책임자 1인당 1편(국문/영문 택1)으로 제한, 토론은 예외적으로 1명 추가 추천 가능)를 학회로 제출하여야 합니다(추천서 양식은 초록 등록 페이지를 참고).
  • 코스맥스의 후원으로 대학원생 구두발표(국문) 우수논문발표상 응모건 중 화장품 관련 분야(의료용 및 콜로이드 분야 가능)를 선정하여 4월 16일(수)에 대학원생 구두발표(코스맥스)를 진행합니다.
  • 포스터 발표자는 우수논문발표상에 응모할 수 있습니다. 초록제출 시 개인 자격으로 응모가 가능하며, 연구책임자의 추천서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, 동일 연구실 내 지원자는 구두 부문을 포함하여 5인 이하를 권장합니다.
  • 우수논문발표상은 포스터와 구두 부문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며, 2024년 춘계 및 2024년 추계 학술대회 우수논문발표상 기수상자는 동일 부문 응모가 제한됩니다(우수논문발표상(구두) 기수상자는 포스터발표만 응모 가능하며, 포스터 기수상자는 구두발표만 응모 가능합니다).
  • 포스터 발표 중 5편 이상 발표하는 연구실 대상으로 10팀을 선정하여 포스터 장려상을 수여합니다(발표저자 1명이 포스터 2편 이상을 발표하는 경우 1편만 집계). 연구실당 최대 수상자는 2명이며,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는 경우 장려상 선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  • 대학원생 구두발표의 경우, 발표시간이 한정된 관계로 초록의 사전심사를 통해 포스터 발표로 임의 변경될 수 있습니다.
  • 대학원생 구두발표 및 우수논문발표상에 응모한 포스터 발표의 경우, 발표취소가 불가합니다.
  • 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) 발표자는 토론자로 자동 배치되며, 우수논문발표상(구두)에 자동 응모됩니다. 우수논문발표상 기수상자는 발표 및 토론만 가능하며 응모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  • 발표 포스터는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